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(아래 기사 출처: 인터넷 신문 '참소리')</P> <P>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</P> <P> "명백한 부당노동행위에 KT노조 무대응" KT 노조 민주성 자주성 회복을 위한 집중집회 열려</P>KT 노동조합의 민주성과 자주성을 회복하자는 집중집회가 열렸다. <BR><BR>전주 서신동 KT 전북본부 앞에서 열린 집중집회는 민주노총 조합원과 단체 회원 등 50여명이 참석했다. 집회 참석자들은 사측에 의해 노골적이고 일상적인 지배개입이 일어나고 있다며 KT를 규탄했다. 그동안 KT에서 일어난 부당노동행위에 대해 설명하고 KT를 비판했다. <BR><BR>참석자들은 “지금까지 노동조합 선거에 개입하는 부당노동행위를 저지르고도 처벌된 적이 없다”며 “이번엔 최소한 문서를 작성하고 이를 지시한 관리자는 반드시 처벌되도록 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 <BR> <P></P> <P></P> <P> </P> <P> "명백한 부당노동행위에도 KT노조 모른체"<BR><BR>또 이들은 “명백한 부당노동행위가 자행되고 있지만 KT노동조합은 모른체 하고 있다”며 KT노동조합 전북지방본부의 무대응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. 이들은 “KT노조가 사실상 사측 부당노동행위의 수혜자가 아니냐”고 비판했다. </P>또 상급단체인 민주노총 전북본부에 대해서도 불만을 드러냈다. 이들은 “명백한 부당노동행위와 노조 말살 행위에 대해 민주노총 전북본부가 나서야 한다”고 주장하기도 했다. <BR><BR>KT 규탄발언에 나선 공공노조 이창석 평등지부장은 “이런 KT의 부당노동행위를 묵인하면 중소영세사업장이 노동조합을 탄압하는 데 적극적으로 번지게 될 것”이라며 “KT의 부당노동행위와 노조말살 음모를 분쇄하자”고 호소했다. <BR><BR><BR>"KT사태 묵인하면 중소영세 노조로 번질 것"<BR><BR>짧게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로비 안에서 농성 중인 민주동지회 소속 후보들을 찾아 격려했다. <BR> 또 사회단체 대표자 등 대표단 3인이 본부장을 면담하고 항의서한을 전달하려 했으나 경비에게 저지됐다. KTS&C 서부지부 소속 경비용역은 “청사출입 권한이 없는 사람을 출입시킬 수 없다”며 대표단이 엘리베이터를 타지 못하도록 저지했다. 특히 지도과장 장 모씨는 “당신들이 뭔데 본부장을 만나겠다는 거냐”거나 “사랑할 가치가 있어야 사랑하는 것”이라고 대표단에게 비아냥거려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. <BR><BR>부장이라고 밝힌 한 KT측 관리자는 민동회 측 후보에게 “후보가 얘기하면 내가 상대해 주겠다. 대꾸해 주겠다”고 비아냥거렸다. 그는 대표단에게 “본부장은 퇴근했다”고 밝혔다. 참가자들이 “항의서한을 대신 받아라”고 요구하자 “안 받기로 했다. 전달 못하는게 아니라 안 받는거다. 나는 (항의서한을) 안 받을 권리가 있다”고 말하기도 했다. <BR><BR>항의서한 전달은 끝내 사측의 거부로 이뤄지지 않았다. <BR><BR> <IMG src="http://cham-sori.net/bbs/data/cast_photo/mIMG_6432.jpg" border="1"> ▲경비용역을 맡은 KTS&C 직원들에 의해 대표단 항의방문이 제지됐다. <BR><BR><BR>KT노조전북본부 민주노조 정체성 유지노력 없어<BR><BR>한편 농성장 지지방문에 참석한 진보신당 전북도당 염경석 위원장은 “여전히 KT노조 전북본부가 민주노조 정체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없다”고 비판했다. 염 위원장은 “최근에 명백히 밝혀진 현실이 있는데도 KT노조 전북본부는 시정요구조차 않하고 있다”고 비판했다. 그는 “거꾸로 노동조합이 이 같은 부당노동행위를 원하고 있는 것을 반증하는 것”이라며 “여전히 KT 노조는 민주노조가 아니다”고 강하게 비판했다. <BR><BR>염경석 위원장은 “KT노조는 어용노조도 아니고 사측과 일체가 돼 노무관리하는 조직으로 전락하고 말았다”고 주장했다. <BR><BR>한편, KT노동조합 위원장 등 임원과 지방본부장 선거가 오는 3일 진행될 예정이다. 이번 선거에서 무주, 진안, 장수 등 12명이 근무하는 소수 지점에도 투표소를 설치하고 개표도 현장에서 하기로 해 사실상 공개투표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. 네모 칸 특정위치에 투표하게 하거나 개표결과에 따른 인사고과 반영 등의 불이익을 두려워하게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. <BR><BR> <P align="right">2008-12-01 21:09:13 박재순 기자 </P><BR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